`르` 불규칙 변화에 대해 알아보자

1. '르' 불규칙 변화 규칙

'르' 불규칙 용언은 어미가 '-아/어'로 시작할 때만 어간의 '르'가 'ㄹㄹ'로 바뀌는 특징이 있습니다.

📌 변화하는 경우

  • '이르다' + '-아/어서' → 일러서 (O)
  • '이르다' + '-아/어' → 일러 (O)
  • '이르다' + '-았/었-' → 일렀다 (O)

📌 변화하지 않는 경우

  • '이르다' + '-고' → 이르고 (O)
  • '이르다' + '-니' → 이르니 (O)
  • '이르다' + '-면' → 이르면 (O)

💡 즉, '르' 불규칙 변화는 '-아/어'가 포함된 어미가 올 때만 적용됩니다.


2. 왜 '이르고, 이르니'에서는 변화하지 않을까?

'이르고'와 '이르니'의 경우 어미가 '-아/어'가 아닌 다른 어미 ('-고', '-니')가 붙었기 때문입니다.

'-고'나 '-니' 같은 어미는 '르' 불규칙 변화를 유도하지 않음!
✔ 그래서 어간이 변하지 않고 원래 형태인 **'이르-'**가 그대로 유지됩니다.

👉 만약 '일르고', '일르니'처럼 변한다면 문법적으로 맞지 않기 때문에, 기존 형태(이르고, 이르니)를 유지하는 것이 맞습니다.


3. 정리! '르' 불규칙이 적용되는 경우 & 적용되지 않는 경우

경우적용 여부예시
'-아/어'가 포함된 어미가 붙을 때✅ 적용됨일러서, 일렀다, 일러
'-고', '-니', '-면' 같은 어미가 붙을 때❌ 적용 안 됨이르고, 이르니, 이르면

📌 핵심 요약:
👉 '르' 불규칙 변화는 '-아/어' 어미가 올 때만 적용된다!
👉 그 외의 어미가 붙으면 어간이 변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한다!

이제 '이르다'의 활용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되셨을 거예요! 😊
더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 주세요~! ✨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[군대]예비군 훈련장 변경 방법 정리

색조 화장품 개발자가 되려면? (노하우 정리)

[여행]두샨베에서 타슈켄트로 가는 방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