체세포 분열주기와 핵상 정리
✅ 체세포 분열 주기와 핵상(2n)
체세포 분열(유사 분열, Mitosis)은 염색체 수를 유지하면서 세포를 증식시키는 과정입니다.
📌 핵상(2n)과 DNA 양의 변화
세포주기 단계 | 염색체 수 (핵상) | DNA 양 |
---|---|---|
G1기 (간기) | 2n | 2C |
S기 (DNA 복제) | 2n | 4C |
G2기 (M기 준비) | 2n | 4C |
M기 (유사분열) | 2n | 4C → 2C (분열 후) |
딸세포 | 2n | 2C |
✔ G1기: 정상적인 2n 상태 (DNA 양 = 2C)
✔ S기: DNA 복제가 일어나지만 핵상은 그대로 2n (DNA 양 = 4C)
✔ G2기: DNA 복제 완료, 핵상은 그대로 2n (DNA 양 = 4C)
✔ M기 (체세포 분열): 염색체가 분리되지만, 딸세포가 형성되면서 최종적으로 2n 유지 (DNA 양 = 2C)
💡 핵상(2n)은 변하지 않고, DNA 양만 변화합니다!
🎯 결론!
👉 체세포 분열에서는 G1, S, G2, M기 및 딸세포까지 항상 핵상은 2n을 유지합니다.
👉 다만, S기 이후부터 G2기, M기 진행 중에는 DNA 양이 일시적으로 4C로 증가했다가 다시 2C로 감소합니다.
이제 체세포 분열의 핵상 변화가 확실히 이해되셨을 거예요! 😊
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면 편하게 질문 주세요~! ✨
댓글
댓글 쓰기